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한국사에 대하여 7. 근대사 [1] 대한 제국과 일제 강점기

by melodic 2023. 9. 21.
반응형

한국사에 대하여

7. 근대사

[1] 대한 제국과 일제 강점기

이번 글에서는 근대사의 시작점인 대한 제국, 그리고 이어서 일제 강점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대한 제국(1897-1910)

고종황제의 어새와 함 (C). 2023 (Wikimedia Commons) all rights reserved.

 

  복잡한 일련의 작전과 대항책으로 일본은 1904년 포트 아서 전투에서 러시아 함대를 격퇴했다. 1904~1905년 러일전쟁과 포츠머스조약 체결로 일본이 한국을 지배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1905년 보호국 조약이 체결된 후 한국은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다. 이토 공은 1909년 하얼빈 역에서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에 의해 암살되었는데 초대 총감이다. 1910년 일본 제국은 마침내 조선을 병합했다. 제1차 청일전쟁(1894년-1895년)의 결과로 중일 간에 1895년 시모노세키조약이 체결되었다. 1882년 임오군란 이후 한국이 중국의 고객국가였던 중국과의 종속관계를 폐지할 것을 규정하였다. 1897년 조선은 대한제국으로 개칭되었고 고종이 고종황제가 되었다. 제국 정부는 국내 개혁 실시, 군사력 강화, 상공업 발전, 토지 소유권 조사를 통해 강하고 독립적인 국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독립클럽 같은 단체도 조선인민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결집했지만 절대군주제와 권력을 선언한 정부와 충돌했다. 러일전쟁(1904년-1905년)에서 일본에 패하기 전까지 제국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대한제국은 1905년 11월 17일 사실상 일본의 보호령이 되었고 1905년 보호조약은 고종황제의 인장이나 위임을 받지 않고 공포되었다. 조약 체결 후 많은 지식인과 학자들이 다양한 단체와 협회를 설립하고 독립운동에 착수했다. 1907년 일본이 제2차 헤이그조약에 밀사를 파견해 보호국조약에 항의한 사실을 알고 고종의 아들 순종이 즉위했다. 1909년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 전 조선총감을 암살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일본인들은 모든 정치 조직을 금지하고 병합 계획을 추진하게 되었다.

 

(2) 일제 강점기

 

  1910년 일제는 한일 병합 조약에 의해 사실상 한국을 병합했다. 지금까지 체결된 한일협정과 함께 1965년 체결된 병합조약은 무효로 확인되었다. 일본은 조약이 합법적으로 체결됐다고 주장했지만 한국은 천황의 서명이 없고 조약에 관한 국제적 압력을 위반했기 때문에 조약의 합법성에 이의를 제기했다. 많은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대항하기 위해 의군을 결성하였다. 1910년부터 조선은 조선총독부의 통치하에 놓였고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무조건 연합군에 항복할 때까지 지배되었다. 조선시대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사법주권이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 병합 후 일본은 많은 한국의 전통적 관습을 억압하기 시작했다. 최종적으로는 한국어 자체까지였다. 경제 정책은 주로 일본의 이익을 위해 실시된 것이다. 유럽식 교통·통신 네트워크는 자원을 추출하고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해 전국에 건설되었다. 그러나 건설된 인프라의 대부분은 이후 한국 전쟁에서 파괴되었다. 은행 시스템이 통합되고 한국 통화는 폐지되었다. 일본인들은 조선시대에 호적을 갖지 못한 백정과 노파에게 조선의 위계를 없애고 호적부를 주었다. 경복궁은 거의 파괴되어 총독부 청사로 대체되었다. 1919년 1월 고종 황제가 독살 소문으로 사망한 후 1919년 3월 1일(3.1운동) 전국적으로 식민지 지배자들에 대한 독립 집회가 열렸다. 이 운동은 무력에 의해 진압되었고, 약 7000명이 일본군과 경찰에 의해 살해되었다. 일본 기록에 따르면 평화적이고 자유화를 지지하는 집회에는 200만 명이 참가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참가자는 50만 명 미만이다. 이 운동은 1919년 제1차 세계대전 후 자기결정권을 지지하고 식민지 지배를 종결하겠다고 선언했던 미국 윌슨 대통령의 연설에서 촉발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운동의 여파로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어 해방 노력과 일제 통치에 대한 저항을 조정하였다. 임시정부의 업적으로는 1920년 청산리 전투와 1932년 일본군 지도부의 중국 매복 등이 있다. 임시정부는 1919년에서 1948년 사이의 한국인 사법적 정부로,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는 임시정부의 정당성이 새겨져 있다. 한국의 초·중등 교육은, 「한국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과 「일본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으로 분류되고 있었다. 따라서 조선족은 주로 일본어를 위해 학교에 다닐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했다 1926년 한국어는 6년제 보통학교 1학년과 2학년에게 주 4시간, 나머지 과정에는 3시간씩 가르치고 있었다. 일본인도 한국인도 예외 없이 학비를 냈다. 보통 학교의 평균 등록금은 한 달에 약 25센트이었다. 조선족이 부담하는 지역 교육 단체의 교육 평가는 1923년에 평균 약 20센트이었고, 조선족이 부담하는 학교 연합회의 1인당 평균 약 3.30달러였다. 1945년 한국의 문해율은 22%에 달했다. 학교 교육과정은 한국어와 역사 교육을 배제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수정되었다. 한국어는 금지되어 한국인은 일본어 이름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다. 많은 한국 문화재가 파괴되거나 일본으로 반입되었다. 한국 정부 조사에 따르면 7만5311건의 문화재가 한국에서 반출되었다. 일부 한국인은 중국과 미국 등으로 망명하기 위해 한반도를 떠났다. 만주에 사는 조선인들은 중국과 한국의 국경을 오가며 일본군과 게릴라전을 벌여 동이군이라 불리는 저항세력을 결성했다. 그들 중에는 1940년대에 중국과 동남아시아 일부에서 연합 행동에 참여한 한국 해방군으로 단결하는 사람도 있었다. 수만 명의 한국인도 인민해방군과 민족혁명군에 가담했다. 1945년에 일본인이 추방되면서 사실상 모든 행정적 및 기술적 전문 지식이 삭제되었다. 일본인은 1944년에는 인구의 2.6%에 불과했지만 도시 엘리트였다. 50개의 대도시에서 일본인은 71%를 차지했지만 한국인은 12%밖에 되지 않았다. 그들은 주로 교육받은 직업의 계급을 지배했다. 반면 한국인의 71%는 농장에서 일하고 있었다.

 

(3) 결론

 

  이와 같이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대해서 소개해보았다. 다음은 이어서 한국 전쟁과 남북 분단의 시기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728x90
반응형